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조경식재] 반려견공원 주의해야 할 식재수종 반려견공원 계획 시 제외해야 할 수종 자료들 모음 뿌리, 열매에 독성이 있거나반려견에게 해로운 식물들 리스트 1) 은행 (열매 독성)2) 대상화 (전체 독성)3) 베고니아4) 국화 (피부염, 구토 설사)5) 남천6) 상사화 (뿌리의 독)7) 호랑가시나무8) 협죽도9) 시클라멘 (전체 독)10) 담쟁이덩굴11) 모닝글로리12) 겨우살이13) 히아신스14) 아이리스15) 무화과나무 (가지,나뭇잎 독성)16) 카네이션 (피부염, 위장장애)17) 히비스커스18) 샤프란19) 작약20) 튤립21) 데이지22) 수국23) 철쭉 24) 진달래25) 벚꽃 (약한 독성)26) 회양목 + 아보카도, 유칼립투스, 포인세티아, 드라세나, 아이비, 몬스테라, 난초, 라벤더, 제라늄, 로즈마리, 아이비, 까마중, 피마자 .. 더보기 [조경내역] 임목폐기물 처리 방법 / 업체 검색 시공을 하지 않더라도 설계 단계에서 임목폐기물에대해 다루는 경우가 생긴다. 예전에 있던 폐목재의 분류 및 재활용기준(환경부고시 제2016-32호, 2016. 2. 5.)을 폐지 임목폐목재의 경우 폐기물의 발생량에 따라 5톤 미만 발생인 경우 생활계폐목재로, 5톤 이상 발생인 경우 사업장폐목재로 구분된다. "건설폐기물의 재활용폭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1 건설폐기물의 종류에 따르면 6. 폐목재 (나무의 뿌리, 가지 등 임목폐기물이 5톤 이상인 경우는 제외한다.) 나무를 베면 뿌리나 줄기 등이 나오는데 재활용이 가능한 부분도 있고 불가능한 부분들이 있다고 한다. 임목폐기물 처리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처리업의 허가를 받은 자에게 위탁하여 처리하기가 대표적이다. 다른 방법이 있다고 하더라도 쉬운 길이 .. 더보기 [녹색건축인증&조경] 녹색건축인증 최신자료 다운로드 녹색건축물인증 & 조경 최근 개정 된 녹색건축물인증 개정 전문 다운로드↓ 주로 봐야하는 건 신축 주거용 / 신축 비주거용 ① 신축 주거용 건축물 9p~ ② 신축 비주거용 건축물 125p~ 더보기 [녹색건축인증&조경] 신축 주거용 비오톱(수생/육생) 조성기준 녹색건축물인증 & 조경 프로젝트의 건물이 녹색건축인증을 받는다고 한다면 조경에서 지원하거나 반영해야 할 여러 자료들이 있다. 주로 시설물, 포장, 생태면적률 등등먼저 볼 내용은 비오톱과 관련한 내용이다. 먼저 녹색건축인증 운영세칙을 봐야한다.운영세칙은 아래 사이트 참조 ↓ ↓ ※ 녹색건축인증 사이트 : http://www.gseed.or.kr/siteMain.do ※ 24.01.20 기준 최신자료 신축 비주거용 or 주거용 녹색건축인증 운영세칙은 크게 ① 신축 비주거용 / ② 신축 주거용으로 나뉜다. 항시 체크!아래는 주거용 건축물에 관련한 비오톱 조성 내용이다.!! 최근 개정안에서는 비주거용 건축물에서 비오톱 조성이 제외 됨. 주거용 건축물(공동주택) 비오톱 조성 등급 구 분비오톱 조성.. 더보기 조경법규 정리-7탄 / IFEZ 조경기준, 토심 IFEZ 조경기준 l 친환경 건축시스템 구축 IFEZ로 불리는 "인천경제자유구역"에 해당하는 프로젝트는 IFEZ에서 배포하는 조경기준이 있다. 참고로 IFEZ 구역계는 사이트 참조 (인천경계자유구역 구역계 지도 : https://www.fez.go.kr/portal/ifez.do) IFEZ에서 배포하는 조경기준이 포함 된 파일의 정식 명칭은 "친환경 건축시스템 구축"이고 IFEZ의 홈페이지에서 민원소통 → 새소식 → "친환경 건축시스템 구축"을 검색하면 된다. 환경녹지과에서 담당하고 2017-09-05 일자의 파일이 가장 최신이다. ※ 늘 최신자료 검색하는 습관 만들기 중요! 2022-07-08 환경녹지과에 확인한 바로는 "옥상조경 기준"이 삭제되었다고 했다. 조경부분만 발췌한 자료가 아래 파일 ↓ ↓ .. 더보기 조경법규 정리-6탄 / 조경 특성수 조경 특성수 법정교목수량 중 10%를 차지하는 지역에 따른 특성수는 어디서 볼까? ① 검색창에 해당하는 지자체 검색 ② 00소개 / 상징물 선택 ③ 상징물 중 나무와 꽃 확인 위의 내용은 부산광역시 남구청의 상징물! 꽃과 나무인 목련과 은행나무를 식재 시 추가해주면 된다. 회사마다 좀 다를 순 있는데 우리회사는 최대한 꽃과 나무 모두 식재한다. (간혹 어려운 건......흠...) 이때 법정식재수량에서 요구하는 특성수는 "교목"이기 때문에 당연히 상징꽃이 지피/초화/관목일 경우 카운팅하지 않는다. 더보기 조경법규 정리-5탄 / 법정식재수량, 조경식재, 조경기준 식재, 옥상식재1.5배 법정식재수량 법정식재수량은 건축조례(+지구단위지침) 및 조경기준에서 확인 해야한다. 법규는 이 내용은 여기 없고 000 가서 봐~ 라는 내용을 친절하게 포함해주는데 지구단위지침을 보면 건축 조례를 봐~ 하고 그래서 조례를 보면 조경기준을 봐~ 이런 식이다. 당연히 지침에서도 뭔가 식재 관련해서 요구하는 부분이 생길 수 있고 건축조례에서 식재기준을 다루는 경우도 있으니 항상 순서대로 봐야한다. 조례 내 법정식재수량 지침은 없으니 건너뛰고 조례부터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국가법령정보센터 : https://www.law.go.kr/) 서울특별시 건축 조례를 봐도 제25조(식재 등 조경기준) ①항 내용은 조경기준을 따라가라고 되어있다. 조경기준 내 법정식재수량 조경기준에서는 식재수량에 관한 내용이 7,8조에 .. 더보기 조경법규 정리-4탄 / 조경면적과 텃밭 조경면적과 텃밭텃밭을 조경면적에 산입할 수 있을까? 답은 △되기도 하고 안 되기도 한다. 조경기준에는 내용이 없고 서울특별시 건축 조례에서는 해당 내용을 다루고 있다.그 말은 즉, 지자체 건축 조례를 봐야 한다는 것이다. 필로티의 경우와 동일하게 지자체 건축 조례에서 텃밭에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지 않다면안 넣는게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일단, 서울특별시 건축조례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국가법령정보센터 : https://www.law.go.kr/) 해석하자면, 식재기준,조경시설물 등등은 조경기준을 다 따르는데 텃밭은 조경기준에 내용이 없으니까제1항에도 불구하고 라는 말이 나오는 것이고공동주택 등 대지면적 1,000m2 이상인 건축물로서 공동으로 이용하는 텃밭은 그 면적은 1/2을 조경시설 면..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