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경설계

[조경설계] 귀위산방 풍경 / Gui Yu Shan Fang Landscape / 옥상조경 / 풍경의 연속 귀위산방 풍경 / July Design Group  출처 : archdaily건축가 : July Design Group조경 : Gui Yu Shan Fang Landscape년도 : 2023위치 : 항저우, 중국 -실내와 실외가 연결되는 풍경의 연속, 아름다운 조경공간mooool 의 자료에는 손스케치도 함께 있는데 상상한 느낌이 그대로 실현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풍경이 시선을 따라오는 무한한 연속    https://www.archdaily.com/1010960/gui-yu-shan-fang-landscape-july-design-group Gui Yu Shan Fang Landscape / July Design GroupCompleted in 2023 in Hangzhou, China. Images .. 더보기
[조경설계] 해외 사례 참고 사이트 -1탄 설계를 하다보면 국내뿐아니라 해외의 사례들을 찾아보게 되는데그때마다 도움이 됐던 사이트를 몇개 알려드려요!    Mooool중국기반의 사이트로 하나같이 고급스럽고 디테일이 엄청난 사례들이 여기 다 모여있다.핀터레스트의 집합체! 가끔은 오히려 이렇게 좋은 사례를 쓰면 독이 되겠는 걸 할 정도의 사진들이 있다. https://mooool.com/en/xifang-%c2%b7classical-mansion-by-jmd.html Xifang ·Classical mansion by JMD – mooool本文由 九沐景观 授权mooool发表,欢迎转发,禁止以mooool编辑版本转载。 Thanks JMD for authorizing the publication of the project on mooool, Text des.. 더보기
[조경설계] 서울시 유니버셜디자인 가이드라인 (ft. 사이트 링크) 서울시 유니버설 가이드라인 유니버설 관련 자료를 찾다가 서울시에서 유니버설디자인센터 사이트를 발견했다.유니버설 관련 법규들이나 규정들을 잘 정리해둔 점이 좋아서종종 사이트에 들어가서 확인하고 있음!          https://www.sudc.or.kr/udlibrary/guideline-1212.html 사이트에 들어가면 그림과 함께 설명이 있고  맨 아래로 쭉~ 내려보면 관련법과 관련 매뉴얼, 가이드라인이 적혀있다. 클릭하면 해당 법규로 이동되거나 pdf가 다운로드 됨!!!              사이트 주소 : https://www.sudc.or.kr/main.do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센터유니버설디자인 컨설팅 사업 사전안내 및 신청 서울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지침 유니버설디자인 체험관 새창열기w.. 더보기
[조경설계] 생존최소토심과 생육최소토심 차이 생존최소토심, 생육최소토심  조경에서는 수목 식재에 있어서 토심을 "생존"만을 위한 토심인지, "생육"에도 적합한 토심인지 나누어 구분하고 있다. 생존토심은 조경기준에도 나와있지만 생육토심의 내용은 시방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KCS340000]"KCS 34 30 10 식재기반 조성(19.07)"  3. 시공3.1 시공기준3.1.1 일반식재기반 조성(1) 토양의 심도① 식재 시에 필요로 하는 일반토양의 최소깊이는 공사시방서에 별도로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음 표 3.1-1의 생육심도를 반드시 유지해야 한다.종류토양심도(m)비고생존최소심도생육최소심도잔디, 초본류0.150.3 소관목0.30.45 대관목0.450.6 천근성교목0.60.9필요에 따라 최소 녹지폭 확보심근성교목0.91.5 .. 더보기
[조경내역] 임목폐기물 처리 방법 / 업체 검색 시공을 하지 않더라도 설계 단계에서 임목폐기물에대해 다루는 경우가 생긴다. 예전에 있던 폐목재의 분류 및 재활용기준(환경부고시 제2016-32호, 2016. 2. 5.)을 폐지 임목폐목재의 경우 폐기물의 발생량에 따라 5톤 미만 발생인 경우 생활계폐목재로, 5톤 이상 발생인 경우 사업장폐목재로 구분된다. "건설폐기물의 재활용폭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1 건설폐기물의 종류에 따르면 6. 폐목재 (나무의 뿌리, 가지 등 임목폐기물이 5톤 이상인 경우는 제외한다.) 나무를 베면 뿌리나 줄기 등이 나오는데 재활용이 가능한 부분도 있고 불가능한 부분들이 있다고 한다. 임목폐기물 처리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처리업의 허가를 받은 자에게 위탁하여 처리하기가 대표적이다. 다른 방법이 있다고 하더라도 쉬운 길이 .. 더보기